top of page
의자

Announcement

[벤처하는 의사들] “세계 최초 혈관성 치매 치료제 개발 넘어 뇌 회춘까지”

신경세포 연결망 되살려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


자극 치료 효율 극대화하는 ‘뇌 재활치료’


알츠하이머병·PTSD·자폐증 치료, 뇌 회춘도


뇌출혈이나 뇌경색이 원인이 돼 발병하는 혈관성 치매는 전체 치매 환자의 30%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되지만 아직 치료제가 없다. 같은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은 레켐비(성분명 레카네맙), 키썬라(도나네맙) 같은 신약이 있지만, 부작용으로 뇌부종이나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혈관성 치매 환자들에게는 처방할 수 없다.

한국 기업이 세계 최초를 목표로 혈관성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. 세브란스병원 생리학교실 정승수 교수가 세운 비엔에이치리서치가 그 주인공이다.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가능성에 주목해 STEAM연구사업의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전략형 과제로 선정했다.

세계 최초 치료제만 해도 대단한데, 정 교수는 훨씬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. 나이가 들면 뇌 신경세포(뉴런)들의 연결부인 시냅스가 점점 자극에 반응하지 못한다. 이러면 ‘시냅스 가소성(synaptic plasticity)이 저하됐다’고 한다. 신경세포가 상황에 따라 변하는 능력이 떨어졌다는 말이다. 이에 따라 인지능력도 떨어진다. 정 교수는 시냅스 가소성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혈관성 치매 같은 각종 뇌 질환을 고치는 것은 물론, 뇌의 인지기능을 어린 시절 수준으로 되살리고자 한다. 뇌의 회춘(回春)이다


Comments

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