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플랫폼 & 기술
통증과 가려움증에 대한 전기생리학적 및 행동적 분석
요약을 적어주세요
분석기술
세포외 기록(단일 1차 구심신경, 척수)
패치 클램프 기록(등근신경절 뉴런, 삼차신경절 뉴런, 척수 슬라이스 등)
행동 테스트
사용 가능한 질병 모델
만성 및 급성 통증 모델
염증성 통증 : CFA, 카라기난 및 기타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 등
신경병성 통증: 척추 신경 결찰(SNL), 만성 수축 손상(CCI), 당뇨병 신경병증, 화학 요법으로 인한 신경병증 등.
만성 및 급성 가려움증 모델
히스타민, 5-HT,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만성 가려움증, 건조피부에 의한 만성 가려움증 등.
가눙한 분석
전기생리학
-
단일 섬유 기록(체외, 피부-신경 준비)
-
단일 척수 기록(생체 내, 광역 동적 범위(WDR) 뉴런)
-
등쪽 뿌리 신경절 또는 삼차신경 신경절 뉴런을 이용한 패치 클램프
-
척수절편을 이용한 패치클램프(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 기능)
행동 테스트
-
뒷발 들어올리기, 핥기, 흔들기 측정을 통한 비유발 통증
-
폰 프레이 필라멘트를 사용한 기계적 감도
-
하그리브스 장치(열)와 아세톤(차가움)을 이용한 열감도
-
가려움증(뺨 검사 또는 등 피부) / 가려움증과 통증의 구별
염증성 통증 및 가려움증 모델에서 행동 테스트를 사용한 약물 효능 평가
신경병성 통증 모델에서 척수(WDR 뉴런) 기록을 이용한 약물 효능 평가
bottom of page